[무료]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반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해당 강의를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1. 프로젝트를 생성해주는 웹사이트
위의 사이트에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2. 프로젝트 생성할때 지정해주는 것들
이 화면에서 하나씩 살펴보자!
Maven? Gradle?
요즘 추세는 Gradle 프로젝트라고 한다!
언어?
Java로 공부할 것이기 때문에 Java를 선택해준다
버전?
옆에 괄호가 있는 버전들은 아직 완전히 출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괄호가 없는 버전 중 가장 최신 것을 선택해준다
프로젝트 이름.. 등등
이 부분이 바로 그것을 결정해준다
Group은 패키지의 프로젝트명 앞에 있는 정보
Artifact와 Name은 프로젝트 이름
Description은 크게 중요하지 않은 프로젝트 설명
Package name은 안드로이드의 Package와 같은 개념인 것 같다(필자 생각)
★제일 중요한 오른쪽에 위치한 Dependencies
어떤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것인가?를 의미한다
+ 웹사이트를 만들 것이므로 Spring Web 추가
+ html 템플릿 역할을 하는 Thymeleaf 추가 (회사마다 다르게 쓰인다)
생성 버튼 클릭
하단부에 GENERATE를 눌러주면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된다
3. 생성한 프로젝트 IDE에서 열기
압축을 풀어주고
IDE(필자는 인텔리제이 사용)에서 열어주면 된다
그리고 로딩이 끝날때까지 기다려주다가
딱 하나 있는 java 파일에 들어가서 main을 실행시켜준다
브라우저에
localhost:8080
주소로 접속하면 이런 화면이 뜬다!
에러가 뜨면 성공!
이런 화면은 뜨면 안 된다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스프링 독학 여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header, body란? (0) | 2023.05.31 |
---|---|
JPA 배열 column 만들기 (0) | 2023.05.18 |
JPA fk column으로 findBy하기 (0) | 2023.05.18 |